요즘은 복잡한 공동인증서 보다는 각 은행 인증서를 발급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. 저 역시 신한은행을 이용할 때는 신한인증서 발급 후 편리하게 사용을 하고 있는데요. 유효기간도 길고 간단하게 발급도 가능해서 자주 이용을 하는 것 같습니다. 오늘은 신한인증서 발급 방법과 준비물 그리고 사용처까지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신한은행 신한인증서 발급 준비물
신한인증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준비물이 필요합니다. 발급 전에 미리 준비를 해보시기 바랍니다.
- 신한 SOL 뱅크 앱
- 본인 명의 휴대폰
- 본인 명의 은행 계좌
- 신분증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, 외국인등록증)
신한인증서는 스마트폰 내에 발급이 진행이 되기 때문에 준비물에서 USB나 PC 저장 공간 등은 필요하지 않습니다. 그럼 이제 발급을 진행해보겠습니다.
신한인증서 발급 방법
신한인증서 발급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. 은행 앱에서 약 3분 안에 발급이 가능합니다.
1. 스마트폰에서 신한SOL(쏠)뱅크 앱을 실행합니다. 그리고 하단에 전체 메뉴를 택하고 상단에 설정/인증 버튼을 클릭합니다.

2. 설정 화면에서 신한인증서를 택한 후 인증서 발급하기 + 버튼을 클릭합니다.


3. 신한인증서 발급 화면에서 약관에 먼저 동의를 하고 휴대폰 본인인증을 진행합니다. 추가적으로 이름, 전화번호, 생년월일, 통신사를 선택 후 번호 인증도 진행하세요.


4. 이후 주민등록번호 13자리를 입력 후 신한은행 계좌번호, 비밀번호를 입력 해서 계좌 인증을 진행합니다.

5. 그 다음 신한인증서에 사용할 비밀번호 6자리를 입력하면 인증서 발급이 완료가 됩니다. 추가적으로 생체 인증, 패턴 여부는 선택을 할 수가 있습니다.


신한인증서 사용처
신한인증서는 발급 후 다양한 곳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현재 1,000여 개 이상의 기관에서 본인 확인과 전자서명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그 범위는 계속 확장이 되고 있는데 주요 사용처는 다음과 같습니다.
| 구분 | 대표 사용처 |
|---|---|
| 금융 분야 | 신한은행, 신한카드, 신한투자증권, 신한라이프, 신한저축은행, 예금보험공사, 기술보증기금, 금융감독원 |
| 공공기관 | 국세청 홈택스, 정부24, 국민연금공단, 건강보험공단, 고용노동부, 병무청, 경찰청, 특허청, 헌법재판소 |
| 지자체 서비스 | 서울시 ETAX, 부산시 지방세, 인천시 전자고지, LH 청약센터, 서울주택도시공사 |
| 교육 및 복지 | 한국장학재단, 국가평생교육진흥원, 국민권익위원회, 보건복지부 복지로, 아이사랑, HIRA포털 |
| 민간·제휴처 | 롯데멤버스, 코빗, 네이버, LG CNS, KT, 삼성꿈장학재단, 하루조각, 마이데이터 통합인증 |
주요 활용 범위는 금융 서비스 로그인, 금융 상품 가입 / 계약, 공공 서비스 로그인, 연말정산 및 소득신고 등 세금 관련 전자 서명 등이 있습니다.
신한인증서 발급 참고사항
- 신한인증서 발급 및 이용은 모두 무료입니다.
- 인증서 유효기간은 발급일로부터 3년입니다. 유효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앱에서 알림을 받을 수 있으며, 만료 시에는 동일한 절차로 재발급을 받으면 됩니다.
- 만 14세 미만 미성년자는 법정대리인의 동의 후 발급이 가능합니다.
- 외국인의 경우 외국인등록번호가 있으면 발급 및 이용이 가능합니다. 외국인등록증이 없는 외국인은 발급이 불가능합니다.
- 해외 통신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본인 명의 휴대폰 인증이 어려울 수 있어 발급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.
- 신한인증서는 PC에 직접 저장할 수 없으며 신한SOL 앱 내 보안 공간과 클라우드에 저장됩니다.
- 클라우드에 저장이 된 경우에는 스마트폰을 교체하더라도 새 기기에서 신한SOL 앱을 설치하고 로그인하면 기존 인증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마무리
신한인증서 발급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발급 전에 준비물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며 준비물이 갖춰줬다면 3분 정도면 충분히 발급이 가능하니까 위 내용을 참고해서 발급까지 진행을 해보시기 바랍니다.





